총체보리사료

home 총체보리사료 배합사료

배합사료

배합사료

총체보리 배합사료 가격

    Info
  • 총체보리 배합사료 가격
    사용
    범위
    3개월령 이전 250~500kg 500~600kg 600kg
    이후
    12개월령 이후
    사육
    단계
    어린송아지 비육용중송아지 큰소비육전기 큰소비육후기 번식우
    사료명 슈퍼맘 P 어린
    송아지 P
    1호 P 2호 F 3호 T 번식우 M 번식우 P
    형태 및 단위 펠렛 (20kg) 펠렛 펠렛 후레이크 텍스쳐 가루 펠렛
    전지역
    (전라북도)
    17,920 16,350 13,650 13,750 13,950 13,000 13,150
    벌크사료
    kg 단가
    - 641 533 537 545 507 513
    *적용기준 : 2022년 6월 10일

    사료 주문전화 (063)546-6921
    사료대금 입금계좌 농협 351-0805-9932-93 총체보리섬유질배합사료공장

송아지 사양관리

    어린송아지 사료급여
  • 슈퍼맘P / 어린송아지P / 명품송아지TMR
    총체보리 배합사료 가격
    구분 송아지 연령(개월)
    1 2 3 4
    체중(kg) 45 65 90 115
    1일 사료급여량(kg) 0.3 0.5 1.0 1.5
    양질건초(kg) 자유채식
    1. 특징
    - 어린 송아지 사료는 포유 송아지의 소화생리를 고려하여 잘되도록 펠렛가공 되어있다.
    - 명품송아지 TMR(슈퍼맘)은 반추위가 발달되기 전의 포유 송아지에 필요한 단백질, 비타민, 광물질 등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.


    2. 급여방법
    - 신선한 사료 및 물의 공급
    - 조사료는 생후 4~5일 경 부터 자유급여
    - 이유시기 : 하루 800g이상 사료섭취 (3일 이상) 반추활동


    3. 초유급여
    - 체중의 4~5%
    - 분만 후 30~40분 이내


    4. 송아지 사양관리
    - 갓 태어난 송아지의 호흡확인 및 체표면 건조와 탯줄 배꼽 (7cm)절단 후 소독을 실시한다.
    - 초산우의 경우 난산 등에 대비하고 분만 시 인위적으로 포유를 바로 유도 할 수 있도록 유방과 유두를 세척 및
    소독한 후 초유를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여 어미의 면역물질이 전달되도록한다.
    - 비타민 ADE 주사 (면역력 증가)
    - 설사예방약 투여
    입식(가축시장 입식우) 사료 급여
  • 1호P / 명품송아지TMR
    입식(가축시장 입식우) 사료 급여
    사료구분 기간 (일) 구입~5 6~10 11~15 16~20 21~25 26~60
    배합사료 1호 P 1.0 1.5 1.5 2.0 2.0 2.2
    양질건초(kg) 자유채식
    TMR사료 명품송아지 5.0 6.0 6.0 7.0 7.0 8.0
    [구입월령 6~8월 / 180kg ~ 220kg]
    특징
    - 스트레를 빨리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영양소 및 첨가제를 함유
    - 기호성이 좋은 원료를 사용
    - 적절한 체중과 건강성을 고려한 기간별 배합사료 급여프로그램

    급여방법
    - 사료 섭취량을 아침, 저녁으로 1일 2회 나누어 급여
    - 조사료 : 자유급여
    - 양질의 건초급여를 기본으로 함

    송아지개량 사업방향
    - 번식우 사양관리(한우조합 지도요원으로 부터 사양관리 지도)
    - 인공수정을 통한 우량송아지 생산 및 개량유도 (계획교배, 육종가 평가, 친자확인 등)
    - 지속적인 사양관리를 통한 우량 송아지 출산유도
    - 유통 및 출하를 통한 도체등급의 향상기여 (출하시 초음파를 통한 우수축선발) - 후대검증을 통한 한우 능력향상

거세우 사양관리

    거세우 사료급여

    ※ 급여 기간 중 매월 1일은 절식 (조사료는 급여)
    ※ 생후 4~5개월령에 거세를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늦어도 7개월 이내에 하는 것이 좋다
    ※ 조사료 급여는 건초 또는 볏짚 중 농가 상황에 맞게 급여

  • 거세우 사료급여
    사료명 생후월령 체중 (kg) 일당증체량 (kg) 1일사료 급여량 (kg) 1일 조사료 급여량 (kg)
    건초 (kg) 볏집 (kg)
    슈퍼맘 P ~3 115 0.5~ 1.5 1
    어린송아지 4 125 0.6~ 3 2
    5 145 0.8~ 3 2
    6 170 0.8~ 3 2
    1호 P 7 195 0.8~ 4 자유채식
    (2kg 이상)
    자유채식
    (2kg 이상)
    8 220 4.5
    9 245 5
    10 270 5.5
    11 295 6
    12 320 6.5
    13 350 7
    14 380 8
    2호 F 15 420 0.9~ 8 2 2
    16 450 8.5 2 2
    17 480 8.5 1.5 1.5
    18 510 9 1.5 1.5
    19 540 9 1.5 1.5
    20 570 9.5 1.5 1.5
    21 600 9.5 1.5 1.5
    3호 T 22 630 0.85~ 9.5 1.5 1.5
    23 650 9.5 1 1
    24 670 9 1 1
    25 690 9 1 1
    26 710 9 1 1
    27 730 8.5 1 1
    28 740 8.5 1 1
    • 거세우 사양관리
    • - 비육단계(육성기, 비육후기)별로 비육우의 산육생리에 맞는 효율적인 사료급여 프로그램이다.
      - 비육단계별 각 기관과 체조직 및 육질형질의 발육특성을 고려하여 배합사료와 조사료의 섭취비율이 맞도록 배합사료 급여량이 조절되어 있다.
      - 비육단계별로 적절한 증체량과 건강이 유지되도록 급여량이 조절되어 있다.
      - 비육단계별로 발육특성에 맞는 영양소 수준이 고려되어 있다.
      - 비육기 특히 마무리기에 일어나기 쉬운 이상발효(비정상적인 것)가 예방되도록 고려되어 있다.
      입식우 관리
    • - 입식하는 날 체중측정, 이표부착 및 비타민제, 항생제, 구충제, 전해질 등을 투여하고 호흡기 질병 예방접종을 실시한다.(호흡기 예방백신은 이동전 접종)
      - 입식 7~14일 후 송아지는 거세를 실시한다.(단, 건강하지 않은 송아지는 스트레스를 회복시킨 후 실시한다.)
      육성기 관리 (7개월령 ~ 14개월령)
    • - 조사료 중심의 사양으로 뼈, 내장, 제1위를 발달시켜 장기비육에도 지속적인 증체가 되도록 기초체형을 만드는 시기로 조사료를 충분히 급여하여야 한다.

      비육전기 관리 (15개월령 ~ 21개월령)
    • - 뇨석증, 고창증에 신경을 쓰고 가급적 비육우의 이동을 피해야 한다.
      - 우방의 면적은 두당 5~6㎡ 사료조의 길이는 두당 80~90cm가 되도록 한다.

      비육후기 관리 (22개월령 ~ 출하)
    • - 비타민과 미네랄 결핍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도록 적정량을 급여한다.
      - 비육우의 우방간 이동을 피해야 한다.
      - 수송 스트레스는 체중의 손실 및 육색에 나쁜 영향을 끼치므로 예방에 신경을 써야 한다.
    • ※ 미네랄블럭을 비육 전기간 급여한다.
      ※ 년 1회 육성기, 비육전기 급여우군 구충 실시.
      ※ 우군별 처지는 개체 프로틴업 급여 (1일 두, 1kg 내외)

번식우 사양관리

    특징
  • - 임신우 경우 자체 건강을 유지하고 태아가 발육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.
    - 단백질, 비타민 A등을 충분히 공급하여 영양소로 인한 번식장애가 사전에 예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.
    - 첫수정(초임)은 생후 14개월령 이후에 한다. (체중 340kg 이상)
    번식우 사료급여
  • 번식우 사료급여
    사료명 생후월령 체중 (kg) 일당증체량 (kg) 1일 사료급여량
    배합사료 (kg) 볏짚 (kg) 증감요인
    슈퍼맘 P ~3 ~100 0.5 1.5 자유채식
    어린송아지 P 4 120 0.6~ 3~4.5
    5 140
    6 160
    1호 P 7 180 0.7~ 3~4.5 3kg
    (가능한 자유채식)
    겨울철(혹한기)과
    환절기에는 10% 정도
    추가 급여 권장
    8 200
    9 220
    10 240
    11 255
    번식우 (M.P) 12 270 0.7~ 3~4 4~5kg
    (가능한 자유채식)
    겨울철(혹한기)과
    환절기에는 10% 정도
    추가 급여 권장,
    (임실 7개월부터 10% 증가)
    13 300
    14 320
    15 340
    360
    380
    400
    420
    440
    460
    480
    500
    520
    540
    번식우 (M.P) 포유중 0.6 4 조사료는 자유채식
    급여방법
    - 양질의 조사료를 무제한 급여할 때는 농후사료 급여량을 줄여서 급여해도 좋다.
    - 번식우 사료는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는 경우에는 3kg이하로 공급할 수 있다.
    - 단, 분만 전 2~3개월은 태아의 성장이 급격해지는 시기이므로 급여량을 30% 증량 급여하여야 한다.
    - 겨울철에도 급여량을 10~20% 증량 급여하여야 한다.

    번식우 사양관리
  • 1. 육성기 사양관리
    - 육성기에는 과비가 되지 않도록 적정량의 사료급여와 충분히 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1일. 4시간이상 햇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.
    - 양질의 조사료를 자유채식하고 배합사료는 조사료에서 부족되는 영양소를 보충하는 수준으로 급여하며, 번식연한을 길게하고 년1회 송아지 생산이 가능하도록 반추위와 소화기관을 발달시켜야 한다.

    2. 임신우 사양관리
    - 임신기간은 평균 280~285일 이며 분만예정일은 수정일에 10을 더하고 수정월에 3을 뺀다.
    - 임신말기 사양관리는 분만직전에 농후사료량을 증가하며 전체 TDN가를 높여 태아의 성장과 어미소의 건강에 좋게 한다.
    - 주간분만을 위하여 분만예정일 1개월전부터 사료급여를 17:00~18:00시에 1일 1회 급여하면 주간분만에 도움이 된다.
    - 송아지 수유를 위해 분만직전보다 10~15% 증량급여하고 과비가 된다고 판단 될 때는 즉시 감량급여한다.
    - 양질의 건초를 분만 2개월전에서 포유 2개월 까지 최소한 1일 1kg씩 급여하고 볏짚만 급여하는 농가는 종합 비타민제와 광물질 제제를 반드시 보충하여야 한다. - 송아지 조기이유(60일)로 발정 재귀일을 앞당겨야 한다.

위로